민주노동당은 전당적으로 한미FTA저지 투쟁을 전개하기로 했다. 기존의
‘한미FTA특별위원회’를 ‘한미FTA반대 국민투표추진운동본부’로 전환하고 문성현 당대표가 직접 본부장을 맡아 모든 일상 사업을 최소화하는 등
결연한 의지를 가지고 한미FTA저지투쟁에 집중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민주노동당은 전국민적인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민주노동당 학생위원회(민노학위)도 대학가를 중심으로 서명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지난 18일부터
서울지역의 대학가를 도는 ‘한미FTA저지 대학투어’를 하고 있다.
서울여대 민노학위도
‘한미FTA저지 대학투어’ 일정을 서울여대에서 진행할 계획을 세웠다.
“정치집회나
실천 등을 미리 허가를 받아야 하는 학내 상황 때문에 지난 19일 학생처에 얘기했죠.” 서울여대 민노학위 박상미 위원장은 “학교측으로부터 ‘별
문제 없겠다, 인원 정도만 미리 확인해 달라’는 답변을 받았었다”며 “오늘(22일) 오전 8시 등굣길 선전을 진행하기로 했었는데 갑작스런 학교의
불허방침으로 당황스러웠다”고 전했다.
![](http://www.voiceofpeople.org/news/upload_200609/51500PICT0048.jpg) |
|
△맨 왼쪽이 민주노동당 서울여대 학생위원회 박상미 위원장이다.
그려는 "등록금 인상 문제 좀 해결해 달라고 교육부에 탄원할 때는 대학에 자율권이 있어서 어쩔 수 없다던 교육부가, FTA반대여론은 도대체 왜
규제하라고 대학에 공문까지 보내는 거냐"고 꼬집었다. ⓒ민중의소리 |
“어제(21일) 낮 3시쯤이었어요. 학생처에서 전화가 와서는 ‘전화상으로 할 얘기가 아니니 만나자’고 하더군요.
그래서 오후 6시 반쯤 학생주임과 학생과장을 만났는데 교육부 공문을 보여주더라고요.”
학교측은 공문을 내밀며 ‘원래 허가 장소가 아닌 정문 앞에서 집회를 하라’고 말했다고 한다.
“팩스로 보낸 공문이었어요. ‘FTA에 찬성하는 내용의 국정홍보처 자료를 학내 여러
게시판과 시설을 통해 홍보하라’는 내용의 공문이 하나였고, 또 다른 공문은 ‘학내에서 반대여론이 형성되는 것을 자제해 달라’는 것이었죠.”
'대학에 자율권 있다던 교육부, FTA반대여론은 왜 규제하라는 겁니까?'
교육부가 보낸 두 건의 공문을 입수, 확인한 결과는 그녀의 말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교육부는 18일 “‘한미FTA 바로알기’ 홍보 추진실적/계획 제출 및 지속 추진
요청”을 제목으로 하는 공문을 보내 “직장교육 및 교원연수 계획을 수립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으며, “학보사로 송부된 홍보자료들을 도서관 입구
등에 비치하여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교육부가 밝히고 있는 ‘한미FTA 바로알기’는 중립적인 제목과 달리 ‘찬성 일변도’의 홍보물이었으며, 여기에 더해
교육부는 “한미FTA관련 학생지도 협조 요청”을 제목으로 하는 공문을 잇달아 보내 “FTA반대 단체의 학원가 분위기 선동 등 정치적 목적에
이용되지 않도록 학생지도에 철저를 기하라”고 당부했다. 18일 ‘FTA찬성을 홍보하라’던 교육부는 21일 새로운 공문을 통해 ‘FTA반대
목소리에 재갈을 물리라’며 ‘선동’을 한 것이다.
“일부 교육계에서는 실제적인 협상
진행 내용과는 상관없이 극단적인 논리전개로 학교현장의 올바른 이해를 저해하고 불필요한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는 18일 교육부 공문의
내용이야말로 ‘선동’인 것.
“결국 학생처장에게서 ‘교육부의 공문이 온 이상 허락할
수 없다’는 입장을 들을 수밖에 없었다”는 박상미 위원장은 교육부의 자치권 통제에 혀를 내둘렀다.
아침에 중앙대 투어를 마치고 서울여대 투어를 위해 이동한 민노학위 집행부들과 학생당원들은 학교측과의 협의 끝에 학내
선전전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전차량의 학내 진입은 끝내 허락하지 않았다.
그녀는
“일방적 매국협정인 FTA 협상을 추진하면서 궁지에 몰린 정부가, 이제는 대학여론을 조작하고 대학인들을 통제하려는 치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결국 정부의 FTA추진이라는 것은 행정조직들을 동원해 반대여론을 짓밟고서야 가능한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더 기가 막힌 것은 서울여대 대학당국이 교육부의 공문을 근거로 해서 우리가 준비했던 집회를 허가했다가 갑작스레
취소했다는 것이에요. 복지부동과 눈치보기에 이골이 난 행정관료들이 보여준 이 기동적이고 일사불란한 모습 앞에, 진정 이들이 바라는 대학의 모습은
‘군화발과 몽둥이와 호령’으로 대학정신을 말살시키던 독재시절의 모습임을 분명히 알 수 있었습니다.”
박 위원장은 민노학위 전국위원회와 함께 “대학 내 여론을 호도하려 시도한 교육부”를 강력히 규탄하는 한편,
“대학인들의 눈과 귀를 가리고 입에 재갈을 물리려는 구시대적 통제와 여론조작, 정치공작을 중단하라”고 교육부에 촉구했다.
"등록금 인상 문제 좀 해결해 달라고 교육부에 탄원할 때는 대학에 자율권이 있어서
어쩔 수 없다던 교육부가, FTA반대여론은 도대체 왜 규제하라고 대학에 공문까지 보내는 겁니까?"
공은 교육부로 넘어갔다.
![](http://www.voiceofpeople.org/news/upload_200609/51500-1kong.jpg) |
|
△교육부가 보낸 공문. 왼쪽이 21일 보낸 '한미FTA관련 학생지도
협조 요청' 공문이고, 오른쪽이 18일 보낸 '한미FTA 바로알기 홍보 추진실적/계획 제출 및 지속 추진 요청' 공문이다.
ⓒ민중의소리 |